며칠 전에 뉴스를 보다가 깜짝 놀랐습니다.
드디어 국민연금 개혁안이
국회에서 통과됐다는 소식이더라고요.
무려 18년 만이라니…
솔직히 그동안 “언젠간 바뀌겠지” 했던 건 사실인데,
막상 현실이 되니까 왠지 모르게
‘이제 나도 진짜 노후를 고민할 나이가 됐구나’ 싶은 거 있죠.
이번 개혁이 우리한테 어떤 의미가 있는지
하나하나 뜯어보면서 제 생각도 좀 나눠볼게요.
우선 제일 눈에 띄는 건 보험료율이 오릅니다.
지금은 소득의 9%를 내고 있는데,
앞으로는 매년 0.5%포인트씩 올라서
2033년이면 13%까지 간대요.
저는 월급이 평균 정도 된다고 치면,
지금은 13만9천원 정도 내고 있지만
2033년쯤엔 20만원 넘게 내게 되는 거죠.
솔직히 부담은 되죠. 1~2만원도
아껴 쓰려고 하는 요즘인데 말이에요.
하지만 이게 끝은 아니더라고요.
연금이라는 게 결국 내가 낸 만큼 돌아오는 거잖아요?
이번 개혁에서 소득대체율도 올라갑니다.
현재는 40% 수준인데,
2026년부터 바로 43%로 오른대요.
간단히 말하면, 은퇴했을 때 지금 받는 소득의
43% 정도를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제가 30살 직장인이고
평균 소득이 309만원이라고 가정하면,
40년 동안 보험료를 내고
65세부터 연금을 받는다고 했을 때,
개혁 전엔 첫 연금으로 123만7천원을 받을 수 있었지만,
개혁 이후엔 132만9천원으로 늘어난다고 해요.
25년간 받는 전체 연금액도
2억9천만원에서 3억1천만원대로 증가하니까,
결국 내가 더 낸 만큼 더 받게 되는 구조인 거죠.
예전부터 “국민연금 나중에 못 받는다”는 얘기 많이 들었잖아요.
그래서 더 냉소적이었던 것도 사실인데,
이번 개혁으로 국민연금 기금 소진 시점이
2056년에서 2071년으로 15년이나 연장된대요.
현재 30대 초반 직장인 분들
2071년이면 70대쯤 되니까…
최소한 받을 수 있긴합니다.
이번에 개혁안 내용을 좀 더 찾아보다가
반가운 소식도 있었어요.
출산 크레딧:
이제 첫째부터 12개월 인정받을 수 있고,
상한도 없어진대요.
애 키우는 친구들한테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군 복무 크레딧:
복무 기간 최대 12개월까지 인정된다니,
군대 다녀온 저한텐 이득이죠.
저소득 지역가입자 보험료 지원:
납부를 중단했다가 다시 시작한 분들한테는
최대 12개월까지 지원해준다니까,
여건이 안 돼서 잠깐 쉬었던 분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보험료 더 내는 거 솔직히 부담됩니다.
하지만 결국엔 그만큼 더 많이 받게 되는 구조니까,
‘노후 대비’라는 큰 그림 안에서는
긍정적으로 봐야겠더라고요.
그리고 단순히 연금만 바라볼 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노후 준비는 별도로
해두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적금이든, 연금저축이든, 주식이든...
각자 방식은 다르겠지만요.
여러분은 이번 국민연금 개혁안, 어떻게 보셨어요?
나한테 어떤 영향을 줄지 한번쯤 계산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혹시 저처럼 고민하고 있다면, 같이 얘기 나눠봐요 :)
2025 4월2일 바뀌는 티빙 (TVING) 계정 공유 총정리 (0) | 2025.03.26 |
---|---|
2025 스트레스 DSR3단계 총정리: 신규 및 대출갈아타기 A부터 Z까지 (0) | 2025.03.25 |
2025년 내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확인 총정리 (0) | 2025.03.24 |
2025년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A부터 Z까지 변경사항 총정리 (0) | 2025.03.22 |
2025년 경기도 어린이 청소년 교통비 지원사업 총정리: 지원금액 가입방법까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