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2025년 4월 One UI 7 업데이트후 배터리 드레인 이슈 총정리

IT 이야기

by 금융 파이프 라인 배관공 2025. 4. 13. 20:23

본문

 


삼성의 One UI 7 업데이트가 

2025년 4월 7일 부터 배포 되었는데요.

 

 

대상 기기는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드렸습니다. 

 

삼성 갤럭시 One UI 7 지원 기기리스트

 

2025년 Samsung Galaxy One UI 7 지원 목록: 갤럭시S, Z, A, M 탭 모두정리

이번 One UI 7업데이트일정최근에 공개가 되었는데요. 이전 One UI 6시리지는 금방 해줬는데 이렇게 더디게 진행되는건 이례적인것 같습니다.   아래 삼성 뉴스룸에서 공식 업데이트에 관한 정

tenten-healty.tistory.com

 

 

하지만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서 

배터리 드레인 문제가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원인과 해결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배터리 드레인이란 무엇인가?


배터리 드레인은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소모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반적인 사용 패턴에서도 

배터리가 예상보다 빨리 닳거나 

충전 주기가 짧아지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특히,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후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엄청 불편하죠. 

 

이런 문제는 갤럭시 뿐 아니라

아이폰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문제죠.

 


배터리 드레인의 주요 원인

 


1) 소프트웨어 최적화 부족
One UI 7 베타 버전에서 부터

보고된 문제로, 

새로운 기능과 설정이

 기존 하드웨어와 완벽히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서 배터리 소모가 증가했습니다.

 



2) 앱의 백그라운드 활동
업데이트 후 일부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과도하게 실행되어 

배터리를 소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디스플레이 설정
높은 해상도(QHD+)와 밝기 설정은 

배터리 소모를 가속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입니다.

 



4) 위치 및 연결 설정
Wi-Fi 및 Bluetooth 스캐닝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지속적인 

네트워크 검색으로 인해 배터리가 

더 빨리 닳을 수 있습니다.

5) 캐시 데이터 문제
오래된 캐시 데이터가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켜 배터리 

소모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배터리 드레인의 해결 방법


1)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확인
삼성은 이미 One UI 7 베타 버전에서 

발생한 배터리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패치를 준비 중이라고 했었죠.

 

 

그동안의 경험으로 볼때

정식 릴리즈 후에도 

한두번의 패치가 있은 후 최적화 되더라구요.

 

 따라서 최신 업데이트를 

항상 확인하고 설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불필요한 앱 관리


사용하지 않는 앱은 

'절전 모드'로 설정하거나

 삭제하세요.



설정 > 배터리 > 백그라운드 사용 제한에서 

'사용하지 않는 앱 절전'을 활성화하세요.

3) 디스플레이 최적화
화면 해상도를 FHD+로 낮추세요.

 

 


자동 밝기 설정을 이용하거나 

수동으로 밝기를 낮추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4) 위치 서비스 및 연결 설정 비활성화
Wi-Fi 및 Bluetooth 스캐닝을 비활성화하세요.

 

 


설정 > 위치 > 위치 서비스에서 

해당 옵션을 끄면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5) 캐시 데이터 정리
설정 > 앱 > One UI Home > 저장 공간 > 캐시 삭제를 통해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하세요.

6) 전원 절약 모드 활성화
전원 절약 모드를 활성화하면 

CPU 속도와 화면 밝기를 조정하여 

배터리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7) 기기 재부팅
업데이트 후에는 기기를 

다시한번 재부팅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저도 업데이트 후 바로 사용 하다 안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재부팅 해보니 

잘 동작했던 경험이 있거든요.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