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님이시라면,
한 번쯤 교육급여에 대해
들어보셨을 거예요.
저도 아이가 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데,
이번에 2025년 교육급여 신청을 알아보면서 느낀 점,
그리고 꼭 알아두셔야 할 것들을
정리해서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아쉽게 소득기준을 만족하지 못해
신청을 못했지만 만족하시는
학부모님께는 큰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생각보다 지원이 큽니다.
교육급여는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하나인데요,
쉽게 말해서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정의
초등학생에게 교육활동지원비를 지원해주는 제도예요.
2025년 기준으로 초등학생 한 명당
연 487,000원을 받을 수 있어요.
생각보다 금액이 꽤 되죠?
교과서 외에 체험활동이나
준비물 등으로 들어가는 비용이 은근 많은데,
저희 집도 이 지원 덕분에 정말 큰 도움이 됐어요.
3월 4일(화)부터 3월 21일(금)까지가
집중신청 기간이에요.
이때 신청하면 학기 초부터
바로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 좋아요.
다만, 이 기간을 놓쳤다고 해서
끝난 건 아니에요!
연중 언제든지 신청 가능하니까,
늦었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방법은 두 가지예요 –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저는 온라인으로 했는데 생각보다 간단했어요.
온라인 신청
복지로: http://www.bokjiro.go.kr
https://www.bokjiro.go.kr/ssis-tbu/
www.bokjiro.go.kr
교육비 원클릭: https://oneclick.neis.go.kr/nxui/index.html
https://oneclick.neis.go.kr/nxui/index.html
oneclick.neis.go.kr
공인인증서나 공동인증서만 있으면
집에서도 금방 신청할 수 있어요.
오프라인 신청
동네 읍·면·동 주민센터에
직접 가시면 돼요.
담당자 분이 친절하게 도와주시니까,
온라인이 어렵거나 문의할 게 많다면
이 방법도 추천드려요.
핵심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정이에요.
가구원 수에 따라 소득 기준이 다르니까,
아래 표를 참고해서 우리 집이
해당되는지 확인해보세요.
혹시 헷갈리신다면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모의 계산해보셔도 돼요!
작년에 받으셨다면 자동 신청!
저희도 작년에 교육급여를 받았는데,
올해는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등록됩니다.
단! 가구 정보나 소득이 달라졌다면
꼭 다시 신청하셔야 해요.
변경된 정보는 자동 반영되지 않거든요.
바우처는 따로 신청해야 해요
수급자로 확정된 후,
교육급여 바우처 홈페이지(e-voucher.kosaf.go.kr)에서
별도로 바우처 신청을 해야 실제로 사용할 수 있어요.
여기서 많이들 놓치시더라고요 😅
신청 방법은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히 설명해 주었습니다.
2025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총정리 가이드: 신청대상, 서류, 방법
오늘 소개할 돈이 되는정보 바로 2025년 교육급여 바우처 인데요.혹시 들어보셨어요? 먼저 이걸 신청하려면교육 급여 신청이 필요한데요.해당 내용은 아래 정리해 두었습니다. 교육급여신청
rruddla.tistory.com
소득·재산 조사가 있어요
신청 후엔 시·군·구에서
소득과 재산 조사를 진행해요.
그 결과에 따라 최종 수급 여부가 결정되니,
정확한 정보로 신청하는 게 중요해요!
저도 처음엔 이 제도가
뭔가 복잡할 줄 알았는데,
해보니까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어요.
무엇보다 아이가 학교생활에 필요한 걸
걱정 없이 준비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았고요.
혹시 주변에 이 제도를
모르고 계신 분이 있다면 꼭 알려주세요.
교육은 누구에게나 평등해야 하니까요! 😊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이나 메시지 주세요.
제가 아는 한에서 도와드릴게요!
2025 용인시 초.중.고 입학준비금(1인당 10만원) 신청 완벽 가이드 (0) | 2025.03.30 |
---|---|
2025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최대 480만원 총정리 가이드 (1) | 2025.03.29 |
2025년 5월 종합소득세 절세방법 총정리 : 애드센스, 애드포스트, 페이팔, 체험단 A부터 Z까지 (1) | 2025.03.28 |
2025년 종합소득세 납부 완벽 가이드: 블로거, 유튜버도 알아두세요! (1) | 2025.03.27 |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 기한 놓쳤을 때: 가산 세율, 신고 방법등 (0)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