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문화예술패스카드는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대한민국 국적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해요(주민등록상 기준).
소득이나 직업과 관계없이
나이만 맞으면 자격이 되니,
일단 조건만 맞으면 걱정 없이 신청해두세요.
대상 연령:
만 19세~34세(1991년~2006년 출생자)
신청 조건:
별도 소득 기준 없음,
국내 거주 청년(국적/주소지 기준)
신청 시기:
2025년엔 연중 상시 신청으로
더욱 자유로워졌어요.
선정 방식:
선착순이 아닌, 자격만 되면 모두 지급!
2025년부터는 1인당
연 12만원으로 금액이 2만원 더 올라,
영화·공연·도서 구입에
훨씬 여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엔 Yes24와 인터파크에서만 사용 가능했으나,
올해부터는 오프라인 지역서점, 소극장,
미술관 등으로 사용처가 확대되어
‘진짜 내 취향’에 맞는 문화소비가 가능해졌어요.
가장 큰 변화는 Yes24와 인터파크 중 선택 후,
연 1회에 한해 교체가 가능합니다!
‘마이페이지>플랫폼 변경’ 으로 가셔서
변경하면 됩니다.
청년문화예술패스
youthculturepass.or.kr
사용하다가 “다른 플랫폼 혜택이 더 좋아보인다” 싶을 때,
각 플랫폼의 장·단점 비교 후 한 번은
변경이 가능하니 더 유연하게 활용 가능하죠.
작년엔 연말까지 소진해야 했지만,
올해는 익년 2월 말까지
사용기간이 연장되었어요!
청년문화예술패스
youthculturepass.or.kr
혹시라도 연말에 못 쓴 금액,
내년 2월까지 넉넉하게 챙기세요.
공연(연극, 뮤지컬, 콘서트) 예매 시 최대 40% 할인 쿠폰
책 구매 시 추가 포인트 적립(3%~5%)
청년회원 한정 월별 이벤트/특별 기획전
영화 예매권 할인, 전용 청년관람 패키지
뮤지컬/콘서트/전시회 예매 시 즉시할인
문화상품권 구매 시 포인트 추가적립
두 플랫폼 모두 영화, 공연,
도서, 전시회 예매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지만,
각자의 주특기가 달라요.
본인의 문화 소비 성향에 따라
신중히 선택하세요.
2025년엔 연 1회에 한해, 사용 중인 플랫폼에서
다른 곳으로 변경 신청이 가능해요
(예: 상반기에 Yes24 사용하다 하반기에 인터파크로 변경).
단, 이미 사용한 금액은
옮길 수 없으니 신청 전에
남은 금액을 잘 확인하세요.
1) 공식 홈페이지 접속:
청년문화예술패스
youthculturepass.or.kr
2) 본인인증:
휴대폰 인증이나 공동인증서로 본인 확인을 진행합니다.
3) 희망 플랫폼 선택:
Yes24와 인터파크 중 한 곳을 먼저 선택.
4) 개인정보 입력:
간단한 개인정보와 연락처를 입력하면 끝!
5) 카드 발급 or 온라인 바우처 지급:
실물카드가 필요 없는 경우엔
온라인 바우처로 바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신청에서 승인까지는 보통 2~3일 내에 완료됩니다.
만약 플랫폼을 바꾸고 싶다면
‘마이페이지>플랫폼 변경’ 메뉴에서
연 1회 교체 가능하니 참고하세요.
네! 1991년생이면 올해가 마지막 혜택입니다.
내년부턴 신청이 어려우니 올해 꼭 챙기세요.
2025년부턴 오프라인 공연장, 지역서점,
미술관 등 다양한 곳에서 사용 가능해졌으니,
적극 활용해보세요.
가능합니다! 올해부턴 연 1회 교체가 가능해졌으니,
필요하다면 꼭 챙겨서 변경 신청하세요.
2025년 청년문화예술패스카드는 지원금이 늘어나고,
사용처가 넓어졌으며, 혜택 플랫폼까지
유연하게 바꿀 수 있게 변화했습니다.
평소 문화생활을 즐기고 싶었지만
늘 경제적 부담이 컸던 청년이라면,
올해 이 기회를 꼭 잡으세요!
지원은 빠를수록 좋으니,
지금 바로 신청 들어가보세요.
2025년 장병내일준비적금, 대상·기준· 만기적금 계산 한 방에 끝내기! (1) | 2025.04.26 |
---|---|
2025년 KB 나라사랑통장, 바뀐 혜택부터 신청법까지 올가이드 (4) | 2025.04.26 |
2025년 청약 제도 대폭 개편, 당첨 확률 올리는 방법 (0) | 2025.04.26 |
보금자리론, 2025년 최신 신청 조건, 확대 혜택 총정리 (2) | 2025.04.25 |
2025 통장사본제출: 토스, 카카오뱅크 통장사본 발급방법 (2)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