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복지 생계지원은 갑작스런 실직,
질병, 사고, 가정 해체 등으로
당장 생활이 어려워진 분들에게
정부가 일시적으로 최소한의
생계를 보장해주는 제도입니다.
갑작스럽게 경제적 위기를 겪게 되었을 때,
단기간 동안 신속하게 지원받을 수 있죠.
요즘처럼 경기가 불안정하고,
예측하지 못한 일들이 자주 일어나는 시대에는
정말 꼭 필요한 안전망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긴급복지 생계지원의 대상자는
경제적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신청할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아래와 같은 경우가 해당됩니다.
1) 실직이나 휴·폐업으로
생계곤란에 빠진 경우
2) 중한 질병이나 부상으로
일상생활이 어려워진 경우
3) 가정폭력 또는 화재,
자연재해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
4) 사망, 가출, 이혼 등 가족의
부재로 인해 생계가 곤란해진 경우
5) 그 외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
다만, 소득·재산 기준
(중위소득 75% 이하, 재산 2억7천만원 이하,
금융재산 927만원 이하 등)
이 있으니 자신의 상황이
해당되는지 미리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가까운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를 방문하시거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로 전화신청이
가능합니다.
긴급복지 생계지원 신청할 때
필수로 챙겨야 할 서류들이 있는데요,
꼼꼼하게 준비하지 않으면
접수가 지연될 수 있는데요.
구비서류는
정부24에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상황에 따라 추가적으로 요구될 수 있으니,
미리 복지로 또는 지자체에 문의하는 것이 좋아요.
2025년 지원금액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내용, 바로 지원금액이죠!
2025년 기준, 가구원 수별로 다음과 같이 지급됩니다.
(※ 금액은 매년 달라질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확인하세요.)
1인 가구: 67만원
2인 가구: 112만원
3인 가구: 145만원
4인 가구: 178만원
5인 가구 이상: 211만원
지급액은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매년 변동될 수 있으니,
최신 정보를 꼭 확인하세요.
꼭 아래 사이트에서
지급액 확인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상세 | 보조금24 | 정부24
보조금24 맞춤안내 서비스 제공 목적으로 개인의 자격정보, 서비스 수급 정보의 실시간 확인을 위한 정보연계 동의가 필요합니다. 1.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회원의 주민등록번호로 행정기관
www.gov.kr
지원 기간은 최대 6개월까지 가능하나,
심사 결과에 따라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긴급복지 지원 자가진단’을 통해
간단하게 나의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가까운 주민센터 상담도 추천해요.
긴급복지지원은 위기 상황에서
신속하게 일시적으로 지원하는 성격이라,
생계급여 등과 일부 중복해서 받을 수 있지만
심사 결과에 따라 지급이 제한될 수 있으니,
담당자 상담이 필수입니다.
HUG 전세사기 피해 구제 신청총정리: 피해접수, 법률지원, 주거지원 및 금융지원 (1) | 2025.05.01 |
---|---|
HUG 청년전세보증금대출: 최대 90% 전세대출 받는법 총정리 (0) | 2025.05.01 |
2025 근로,자녀장려금 중복신청 최대 330만원 지원, 신청기간, 신청방법 (0) | 2025.04.30 |
2025년 생애최초 디딤돌 대출 지급일자, 우대금리, 대출한도 총정리 (0) | 2025.04.29 |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만기 환승 전 반드시 체크할 5가지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