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는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지하철, 버스, 따릉이(서울 자전거)를
월 정액으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 인데요.
2024년 출시 이후 1년 만에
누적 충전 1,000만 건을
돌파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죠.
교통비를 대폭 줄이고,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해
온실가스 감축에도 큰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2025년 이용가능 지역이
확대 예정이라고 하는데
아래 포스팅의 신규 지역정보 확인하세요.
2025년 기후동행카드 사용지역 및 최신 노선 정리
2025년 5월부터 기후동행카드 사용지역이 엄청나게 확대됩니다. 오늘은 어느지역까지 사용가능한지자세히 설명드릴게요. 기후동행카드 아직도 신청안하셨다면아래 포스팅 참조하셔서 신청하세
tenten-healty.tistory.com
1) 이용 가능 지역:
서울, 고양, 과천, 김포, 구리, 남양주,
2) 이용 범위:
서울 지하철, 일부 경기도 구간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선택).
3) 제외:
신분당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면허 버스 등.
1) 모바일 신청
티머니GO 앱 다운로드
티머니GO - 고속버스 시외버스 택시 따릉이 킥보드
통합 모빌리티 이동이득 플랫폼 티머니GO - 대중교통, 버스, 길찾기, 지도, 정류장, 지하철 노선, 고속버스, 시외버스, 공항버스, 택시(온다택시, i.M, 타다) 공공자전거(따릉이, 타슈) 국내항공, S
apps.apple.com
티머니GO - 고속버스 시외버스 택시 따릉이 킥보드 - Google Play 앱
고속버스 시외버스 통합 앱
play.google.com
→ 회원가입
→ 기후동행카드 메뉴 선택 후
카드 종류, 충전 금액, 사용 개시일 입력
→ 신청 완료.
모바일카드:
안드로이드 12 이상 스마트폰에서만 발급 가능.
iOS(아이폰) 사용자는 실물 카드만 가능.
2) 오프라인 신청
**지하철 역사 내 고객안전실(1~8호선) 또는
신림선·우이신설선 인근 편의점
(GS25,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에서
실물카드 구매(3,000원).
충전:
역사 내 무인 충전기(신용·체크카드 결제 가능) 또는
모바일티머니 앱에서 충전.
카드 번호 확인:
카드 뒷면 16자리(1032로 시작).
1) 권종 및 가격
30일권(따릉이 포함): 65,000원
30일권(따릉이 미포함): 62,000원
단기권:
1일권 5,000원,
2일권 8,000원,
3일권 10,000원,
5일권 15,000원,
7일권 20,000원.
2) 충전:
사용 개시일 선택 가능,
만료 5일 전부터 재충전 가능.
실물카드는 역사 내 충전기,
모바일카드는 앱에서 충전.
3) 후불형 카드:
신용·체크카드와 결합된 후불 기후동행카드는
매달 1일부터 말일까지 사용한 교통비가 익월에 청구.
별도 충전 필요 없이 자동 정산.
4) 청년·청소년·다자녀·저소득층 할인:
2025년 하반기부터 청소년,
다자녀, 저소득층 할인 확대(최저 4만 원대).
티머니GO 앱에서 카드 등록:
앱 실행 → 하단 배너 또는 ‘더보기’ →
‘교통카드 등록/변경’ 메뉴에서
카드번호 입력 후 등록.
등록 필수: 1인 1카드 원칙,
타인 양도 불가. 등록하면
대중교통 이용 시 포인트 적립 등
부가 혜택도 누릴 수 있음.
대중교통 이용:
일반 교통카드처럼 찍고 타면 끝.
지하철, 버스, 따릉이 모두 동일하게 사용.
하차 태그 필수:
하차 시 반드시 태그해야 하며,
2회 이상 미태그 시
24시간 사용 중지 패널티가 적용됨.
잔여기간 확인:
버스·지하철 태그 시 만료일 자동 표출,
앱에서도 확인 가능.
환불:
사용기간 내 미사용 잔액은
환불 가능(수수료 500원 차감).
이용 범위 확인:
서울·수도권 일부 구간만 사용 가능,
범위 외 하차 시 별도 요금 발생.
다인승 결제 불가:
1인 1카드, 타인 양도·대여 불가.
현금영수증:
충전금 기준 현금영수증 발급 가능(국세청 홈택스 등록 필요).
택시, 광역·공항버스 사용 불가.
문의: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티머니 고객센터(1644-0088),
각 지하철 역사 고객안전실.
Q. 기후동행카드로 어디까지 탈 수 있나요?
서울 전역, 성남·김포·고양·과천·구리·남양주 일부 구간,
서울시 면허 버스, 따릉이(선택).
Q. 충전은 언제부터 가능하고, 사용기간은?
사용 개시일 기준 30일간 무제한,
만료 5일 전부터 재충전 가능.
Q. 후불형과 선불형 차이는?
선불형은 충전 후 30일간 사용,
후불형은 자동 정산으로 충전 걱정 없이 매월 1일 자동 갱신.
Q. 할인 혜택은?
청년, 청소년, 다자녀, 저소득층
할인권(최저 4만 원대) 하반기부터 확대 적용.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원대에 서울과
수도권 주요 지역 대중교통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어,
출퇴근족은 물론 학생, 프리랜서, 환경을 생각하는
시민 모두에게 필수템이 됐어요.
교통비 절약은 물론, 친환경 실천까지
한 번에 챙길 수 있는 최고의 선택!
카드 신청부터 사용, 등록, 충전, 주의사항까지
꼼꼼히 챙기셔서 똑똑하게 이용해보세요.
2025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수령, 증액, 중도해지 및 주의사항 총정리 (1) | 2025.05.07 |
---|---|
2025년 청년내일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방법 총정리 (0) | 2025.05.07 |
2025년 기후동행카드 사용지역 및 최신 노선 정리 (1) | 2025.05.02 |
한덕수, 최상목 사퇴! 대통령 권한대행 승계 순위 및 장관 명단 총정리 (6) | 2025.05.01 |
이재명 대선후보 대법원 유죄 파기환송 이후 법적 절차 총정리 (2) | 2025.05.01 |